본문 바로가기
Knowledge/언론

매스미디어 효과이론

by JUSTDANCE 2017. 6. 25.

선별적 노출(selective exposure)

- 수용자들이 그들의 기존태도나 관심에 일치되는 매스미디어의 내용만 접촉하려고 하며, 그렇지 않은 것은 기피하려는 심리학 성향을 말한다.

선별적 지각(selective perception)

- 수용자들이 일단 접촉한 매스미디어의 내용도 그것을 자신의 선유성향(preclis positions)에 따라 자신들 나름대로 지각하거나 해석해서 수용하는 경향을 말한다.

선별적 파지(selective retention)

- 수용자들이 일단 수용한 매스미디어의 내용 중에서도 어떤 것은 기억하거나 유지시키지만 어떤 것은 쉽게 망각해 버리는 심리적 경향이다.


틀짓기이론(Framing Theory)고프만(E.Goffman)

- 사람마다 사물을 바라보거나 해석할 때 사용하는 준거틀과 스키마가 다르며, 누구나 적극적으로 자신의 가치와 관점을 이용하여 세상을 이해한다는 것이다. 틀짓기 이론의 일반적 가정은 맥락(context)이 우리의 행동과 이해를 특징짓는다는 점이다.

 미디어 틀짓기(media framing)는 매스미디어가 현실의 어떤 측면을 선택하고 강조하고 수용자에게 설명하는 반면, 다른 것은 소홀히하고 무시하는 보도성향을 일컫는다. 언론의 프레이밍효과란 뉴스프레임이 구성되는 방식에 따라, 뉴스에 대한 개인의 해석과 의견이 달라지는 효과를 의미한다. 즉 뉴스의 내용과 설득적 함의가 지닌 영향력도 중요하지만 '뉴스스토리를 구성하는 인식(논조 등)'이 개인의 인식, 해석, 그리고 의견에 미치는 영향이 보다 미묘하고도 중요하다. 미디어 프레임에 의해 개인의 ㅅ해석적 프레임이 달라지고, 이것이 여론 형성에 미칠 수 있다는 점에 미디어 틀짓기의 중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점화이론(Priming Theory)

- 점화효과는 매스미디어에 의해 공급되는 정보의 정신적 처리 과정을 중요시한다. 프라이밍은 인지심라학용어로서, 두뇌와 정신의 정보처리 과정에 주로 관심을 두고 있다. 점화효과는 생물학적 이론으로서 인간두뇌는 정보를 처리하는 세포로 상호연결된 네트워크로서, 사람들이 어떤 소리나 이미지에 노출되면 두뇌속에 이미 저장된 관련된 이미지를 촉발시킨다는 것이다. 점화효과이론은 스키마(schema)이론과 연결돼있다. 스키마(schema)는 인간의 기억속에 축적된 지식구조를 말한다. 스키마(schema)란 지식의 덩어리로, 일반적인 절차, 대상, 지각결과, 사건, 일련의 사건, 또는 사회적 상황을 표상한다. 스키마이론이란 이러한 지식덩이가 기억에 부호화되어, 경험을 이해하고 저장하는데 이용된다고 전제하는 모형들의 집단을 일컫는 말이다. 스키마를 과거 경험의 적극적이 ㄴ조직화로 정의하기도 한다. 스키마이론의 기본 전제는 모든 새로운 정보는 스키마에 표상된 옛 정보와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매스미디어는 수용자의 마음속에 있는 어떤 사상을 자극 또는 촉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영화나  TV프로그램, 비디오 등은 폭력이라는 점화효과를 가져오는데 기여하는 자극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의제(agenda)

- 일반적으로 회의안건을 말하나, 의제설정기능이론에서 의제란 간단히 말해서, 여러가지 정치적 또는 사회적 이슈들 중에서 특히 미디어나 일반사회의 성원들 사이에 화제나 논의 대상이 되는 중요한 이슈를 말한다.


의제설정이론

- 신문은 독자에게 무엇을 생각할 것이냐?(What to think)를 말해 주는 데에는 항상 성공적일 수는 없을지 모르나, 무엇에 대하여 생각할 것이냐?(What to think about)를 말해주는 데에는 분명히 성공적이다.


의견지도자(opinion leader) 의견지도력(opinion leadership)

- Lazarsfeld, Bernaed, Hazel Gauder가 2단계 유통이론을 만들며 탄생한 개념이 의견지도자(opinion leader)다. Erie군 연구를 통해 유권자는 지지할 후보자를 결정할 때 미디어를 통해 결정하는 것보다 주변의 사람들이나 사회적 위치가 있는 인물의 의견을 다라 결정하는 경우가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견지도자를 통해 정보전달 받는 경우가 더 많으므로 실제 미디어의 영향력은 작다고 보았다. 의견지도자들은 매스미디어를 많이 접촉, 그것으로부터 얻은 1차적 정보들을 다른 사람에게 전다하는 동시에 그 전달과정에서 그 정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관한 자신들의 해설까지 곁들여 주고 있다.


이용과 충족의 접근 방법(Elihu Katz, 1959)

기존이론들은 "매스미디어가 사람들에게 무엇을 하고 있느냐?(what the media do to people?)"

이용과 충족이론은 "사람들이 매스미디어를 가지고 무엇을 하느냐(what people do with the media?)"의 차이가 존재한다.

'Knowledge > 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어 의존이론  (0) 2017.06.26
매스미디어 효과이론  (0) 2017.06.25
2단계 효과이론과 이용과 충족이론의 차이점  (0) 2017.06.25
문화계발효과이론  (0) 2017.06.25

댓글